누가복음 15:1-32
연구 노트
비유: 마 13:3 연구 노트 참조.
드라크마 주화: 드라크마는 그리스의 은화였다. 예수께서 지상에서 봉사할 당시에 사용되던 드라크마는 아마도 무게가 3.4그램가량 되었을 것이다. 당시 그리스인들은 드라크마를 데나리온과 동등하게 여겼지만 로마 정부는 1드라크마의 가치를 1데나리온의 4분의 3으로 책정했다. 유대인들은 매년 성전세로 2드라크마(1디드라크마)를 냈다.—마 17:24 연구 노트; 용어 설명 “드라크마” 및 부록 나14 참조.
열 닢: 이 구절에 나오는 드라크마 주화에 대한 연구 노트에서 알려 주듯이, 1드라크마는 거의 하루치 품삯에 해당했다. 하지만 이 비유에 언급된 잃어버린 주화는 한 세트를 이루는 열 개의 주화 가운데 하나로서 특별한 가치가 있었을 수 있다. 어쩌면 가보이거나 여러 개의 드라크마를 한 줄로 엮어서 만든 귀중한 장식품의 일부였을 수 있다. 당시의 집에는 창문이 있다 해도 대개 상당히 작았기 때문에 주화를 찾기 위해서는 등불을 켤 필요가 있었다. 또한 바닥이 일반적으로 흙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 여자는 잃어버린 주화를 쉽게 찾기 위해 바닥을 쓸었다.
드라크마 주화: 눅 15:8 연구 노트; 용어 설명 “드라크마” 및 부록 나14 참조.
어떤 사람에게 두 아들이 있었습니다: 탕자의 비유(또는 “잃었던 아들”의 비유)에는 몇 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 이 비유는 예수께서 사용하신 다른 비유들보다 길이가 긴 편이다. 또 한 가지 특징은 예수께서 가족 관계를 비유에 사용하셨다는 점이다. 다른 비유들은 대부분 여러 종류의 씨나 흙 같은 무생물, 또는 주인과 종 같은 공적인 관계에 대한 것이었다. (마 13:18-30; 25:14-30; 눅 19:12-27) 하지만 이 비유에서 예수께서는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친밀한 관계에 초점을 맞추신다. 이 비유를 듣는 사람들 중 다수는 아버지가 그처럼 자상하고 정이 많은 사람이 아니었을 수 있다. 이 비유는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께서 땅에 있는 자녀들에 대해 갖고 계신 깊은 동정심과 사랑을 잘 보여 준다. 그분은 자신 곁에 계속 머무르는 사람들과 빗나갔다가 다시 자신에게 돌아오는 사람들 모두에게 그런 애정을 보이신다.
작은아들: 모세 율법에 따르면 맏아들은 아버지의 재산에서 두 몫을 받게 되어 있었다. (신 21:17) 따라서 이 비유에서 작은아들이 받은 재산은 큰아들이 받은 재산의 절반이었을 것이다.
방탕하게 살면서: 또는 “낭비하고(제멋대로; 무절제하게) 살면서”. 이 그리스어 단어와 어근이 같은 단어가 엡 5:18; 딛 1:6; 벧전 4:4에서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 단어는 돈을 헤프게 쓰는 생활 방식도 포함할 수 있는 단어이므로, 일부 성경 번역판에서는 “흥청망청 살면서”로 번역하기도 한다.
탕진했습니다: 여기에 사용된 그리스어 단어는 문자적으로 “(사방으로) 흩어 버리다”를 의미한다. (눅 1:51; 행 5:37) 마 25:24, 26에서는 이 단어가 “넉가래질하다”로 번역되었다. 이 문맥에서는 어리석게 낭비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돼지를 치게: 율법에서 돼지는 부정한 동물이었다. 따라서 돼지 치는 일은 유대인들이 멸시하는 비천한 일이었다.—레 11:7, 8.
콩꼬투리: 또는 “구주콩 꼬투리”. 구주콩 꼬투리는 보랏빛이 도는 갈색이고 윤이 나며 가죽처럼 단단하고 질기다. 이 꼬투리는 그리스어 이름(케라티온, “작은 뿔”)의 문자적 의미와 일치하게 휘어진 뿔처럼 생겼다. 구주콩 꼬투리는 오늘날에도 말, 소, 돼지의 먹이로 널리 쓰인다. 이 비유에서는 그 젊은이가 돼지 먹이까지 먹으려 했다는 점을 언급함으로, 그가 처한 상황이 얼마나 비참했는지를 부각시킨다.—눅 15:15 연구 노트 참조.
아버지께 죄를 지었습니다: 또는 “아버지께서 보시기에 죄를 지었습니다”. 여기에서 “-께”로 번역된 그리스어 전치사 에노피온은 문자적으로 “앞에; 보는 데서”를 의미한다. 「칠십인역」에서는 삼상 20:1을 번역할 때 이 그리스어 전치사를 이 구절과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했다. 그 구절에서 다윗은 요나단에게 ‘내가 당신 아버지께 어떤 죄를 지었습니까?’ 하고 묻는다.
품꾼: 작은아들은 집으로 돌아올 때 아들이 아니라 품꾼으로 받아들여 달라고 아버지에게 요청할 생각이었다. 품꾼은 종들과는 달리 주인의 소유가 아니었으며 대개 하루 단위로 고용되는 사람이었다.—마 20:1, 2, 8.
부드럽게 입을 맞추었습니다: 또는 “사랑으로 입을 맞추었습니다”. “부드럽게 입을 맞추다”로 번역된 그리스어 표현은 동사 필레오의 강조 형태인 것으로 여겨지는데, 필레오는 “입을 맞추다”로 번역되기도 하지만, (마 26:48; 막 14:44; 눅 22:47) 많은 경우 “애정을 가지다; 사랑하다”로 번역된다. (요 5:20; 11:3; 16:27) 이 비유에서 아버지는 그처럼 따뜻하고 다정한 행동을 통해, 잘못을 뉘우친 아들을 기꺼이 다시 받아들인다는 것을 나타냈다.
아들이라 불릴 자격이 없습니다: 일부 사본에는 이 말 뒤에 “저를 품꾼으로 삼아 주십시오”라는 표현이 나온다. 하지만 여러 권위 있는 초기 사본들이 현재 본문과 같은 형태를 지지한다. 일부 학자들은 그 표현이 이 구절을 눅 15:19과 일치시키기 위해 추가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긴 옷 ··· 반지 ··· 신: 여기에 언급된 긴 옷은 그저 평범한 옷이 아니라 제일 좋은 긴 옷이었다. 아마도 귀한 손님에게 주는 화려하게 수놓은 옷이었을 것이다. 돌아온 아들의 손에 아버지가 반지를 끼워 준 것은 호의와 애정을 나타내는 행동이었을 뿐 아니라, 위엄과 영예와 지위를 부여하는 행동이기도 했다. 대개 종은 반지를 끼거나 신을 신지 않았다. 따라서 아버지는 아들을 가족의 일원으로 온전히 받아들인다는 점을 분명히 나타낸 것이었다.
탕진한: 직역하면 “삼켜 버린”. 여기서 이 그리스어 단어는 작은아들이 아버지의 재산 또는 살림을 얼마나 헤프게 낭비했는지를 생생하게 묘사하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미디어
목자의 생활은 편안한 것이 아니었다. 목자는 더위와 추위를 견뎌야 했고 여러 날 잠을 자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창 31:40; 눅 2:8) 또한 사자, 이리, 곰과 같은 포식 동물로부터 양 떼를 보호하고 도둑이 양을 훔쳐 가지 못하도록 지켜야 했다. (창 31:39; 삼상 17:34-36; 사 31:4; 암 3:12; 요 10:10-12) 목자는 양 떼가 흩어지지 않게 하고(왕상 22:17), 잃어버린 양을 찾고(눅 15:4), 약하거나 지친 어린양을 품에 안거나(사 40:11) 어깨에 메고, 병들거나 다친 양을 돌봐 주었다(겔 34:3, 4; 슥 11:16). 성경은 종종 목자와 그들이 하는 일을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여호와는 자신의 양들 즉 백성을 사랑으로 돌보는 목자에 비유된다. (시 23:1-6; 80:1; 렘 31:10; 겔 34:11-16; 벧전 2:25) 예수는 “위대한 목자”(히 13:20)이자 “목자장”이라고 불린다. 그분의 인도 아래 그리스도인 회중의 감독자들은 하느님의 양 떼를 기꺼이, 비이기적으로 그리고 간절함으로 돌본다.—벧전 5:2-4.
구주콩 꼬투리는 구주콩나무(Ceratonia siliqua)에서 자라는데, 이 아름다운 상록수는 이스라엘을 비롯한 지중해 연안 전역에서 볼 수 있으며 키가 9미터까지 자란다. 열매 즉 꼬투리는 길이가 15 내지 25센티미터이고 폭은 약 2.5센티미터이다. 푸른색 꼬투리는 익으면서 보랏빛이 도는 갈색으로 변하고 윤이 나는 가죽처럼 보이게 된다. 꼬투리 안에는 완두콩처럼 생긴 씨앗이 여러 개 들어 있고, 씨앗들 사이에 있는 끈적한 과육은 먹을 수 있으며 달콤한 맛이 난다. 구주콩 꼬투리는 오늘날에도 말, 소, 돼지의 먹이로 널리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