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15:1-39
연구 노트
손을 씻지: 위생 때문이 아니라 전통을 지키기 위해 의식상 정결하게 하는 행동을 가리킨다. 훗날 바빌로니아 탈무드(소타 4b)에서는 손을 씻지 않고 음식을 먹는 것이 매춘부와 성관계를 갖는 것만큼 심각한 잘못이며, 손 씻는 일을 소홀히 하는 사람은 “세상에서 뿌리 뽑힐”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느님께 바친 예물: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은 돈이든 재산이든 하느님께 예물로 바친 것은 전부 성전에 속하게 된다고 가르쳤다. 이 전통에 따르면, 예물로 바친 것을 계속 가지고 있으면서 자신의 이익을 위해 사용할 수 있었고, 그러면서도 그것이 성전에 속한 것이라고 주장할 수 있었다. 일부 사람들은 부모를 돌볼 책임을 회피하려고 이러한 방식으로 자신의 자산을 바친 것 같다.—마 15:6.
위선자들: 마 6:2 연구 노트 참조.
비유: 마 13:3 연구 노트 참조.
간음: 이 구절에서는 “간음”을 의미하는 그리스어(모이케이아)의 복수형이 사용되었으며, 따라서 “간음 행위들”이라고 번역할 수도 있다.—용어 설명 참조.
성적 부도덕: 이 구절에서는 그리스어 포르네이아의 복수형이 사용되었으며, 따라서 “성적으로 부도덕한 행위들”이라고 번역할 수도 있다.—마 5:32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참조.
페니키아: 또는 “가나안”. 그리스어 카나나이아. 페니키아의 초기 주민들은 노아의 손자인 가나안의 후손이다. (창 9:18; 10:6) 후에 “가나안”은 주로 페니키아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마가복음에서는 이 여자를 “시로페니키아 주민”이라고 부른다.—막 7:26 연구 노트 참조.
‘다윗의 아들’: 마 1:1; 15:25 연구 노트 참조.
경배하며: 또는 “몸을 굽히며; 경의를 표하며”. 유대인이 아닌 이 여자가 예수를 “다윗의 아들”이라고 부른 것을 보면, (마 15:22) 그분이 약속된 메시아임을 인정한 것 같다. 그는 예수를 신으로 숭배한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대표자에게 경의를 표한 것이었다.—마 2:2; 8:2; 14:33; 18:26 연구 노트 참조.
자녀 ··· 강아지: 모세 율법에 의하면 개는 부정한 동물이었기 때문에 성경에서는 개라는 단어를 종종 경멸적인 의미로 사용한다. (레 11:27; 마 7:6; 빌 3:2; 계 22:15) 하지만 마태의 기록과 마가의 기록(7:27)에 나오는 이 대화에서 예수께서는 개를 의미하는 단어에 작다는 뜻이 더해진 형태인 지소형을 사용하셨다. 이것은 “강아지”나 “집에서 기르는 개”를 의미하는 좀 더 부드러운 표현이었다. 어쩌면 그분은 비유대인 가정에서 애완동물을 부를 때 쓰는 애정이 담긴 표현을 사용하신 것일 수 있다. 예수께서는 이스라엘 사람을 “자녀”에, 비유대인을 “강아지”에 비함으로 누가 우선순위에 와야 하는지를 알려 주시려고 한 것 같다.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 강아지를 기르고 있다면, 당연히 자녀에게 먼저 먹을 것을 줄 것이다.
불구자가 온전해지고: 이 표현이 일부 사본에는 빠져 있지만, 대부분의 초기 사본과 상당수의 후기 사본에는 들어 있다.
무리가 불쌍합니다: 또는 “무리에게 동정심을 느낍니다”.—마 9:36 연구 노트 참조.
큰 바구니: 또는 “양식 바구니”. 이 구절에 나오는 그리스어 스피리스는 이전에 예수께서 남자 약 5000명을 먹이셨을 때 사용된 것보다 더 큰 바구니를 가리키는 것 같다. (마 14:20 연구 노트 참조) 다마스쿠스의 성벽 구멍을 통해 바울을 내려보낼 때 사용한 “광주리”도 동일한 그리스어를 번역한 것이다.—행 9:25 연구 노트 참조.
여자와 어린아이 외에도: 이 기적에 대해 기록하면서 여자와 어린아이를 언급한 사람은 마태뿐이다. 예수께서 기적을 통해 먹이신 사람은 모두 합해 1만 2000명이 넘었을 수도 있다.
미디어
성경에는 다양한 형태의 바구니를 묘사하는 몇 가지 단어가 나온다. 예를 들어, 예수께서 기적으로 약 5000명의 남자를 먹이셨을 때 남은 음식을 담은 12개의 바구니는, 그리스어 원문에 나오는 단어를 볼 때 잔가지를 엮어 만든 비교적 작은 손바구니였을 것이다. 그런데 예수께서 약 4000명의 남자를 먹이셨을 때 남은 음식을 담은 7개의 바구니를 가리키는 데는 다른 그리스어 단어가 사용되었다. (막 8:8, 9) 이 단어는 큰 바구니 또는 양식 바구니를 가리킨다. 다마스쿠스의 성벽 구멍을 통해 바울을 내려보낼 때 쓰인 광주리를 가리키는 데도 동일한 그리스어 단어가 사용되었다.—행 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