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24:1-27

24  5일 뒤에 대제사장 아나니아가+ 몇몇 장로들과 데르둘로라는 대변인과 함께 내려왔다. 그들은 총독에게+ 바울에 대한 소송을 제기했다. 2  부름을 받자, 데르둘로가 그를 고발하기 시작했다. “우리는 각하 덕분에 큰 평화를 누리고 있으며, 각하의 선견지명으로 이 민족에 개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3  펠릭스 각하, 우리는 이 사실을 언제 어디서나 인정하며 매우 감사하고 있습니다. 4  각하께 더 이상 폐가 되지 않도록 간단히 말씀드리려 하니, 너그럽게 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5  우리는 저자가 말썽을 일으키는 자이며+ 사람이 거주하는 온 땅에 있는 모든 유대인 가운데 소요를 부추기는+ 자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는 나사렛파의+ 우두머리입니다. 6  게다가 그가 성전을 더럽히려고 하기에 우리가 붙잡았습니다.+ 7  —— 8  각하께서 저자를 직접 심문하시면 우리가 고발하는 내용을 모두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9  그러자 유대인들도 합세하여 그 말이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10  총독이 바울에게 말하라고 고갯짓을 하자 그가 답변했다. “저는 각하께서 여러 해 동안 이 민족의 재판관으로 계신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기쁜 마음으로 변론하겠습니다.+ 11  각하께서도 확인해 보실 수 있겠지만, 제가 숭배를 드리러 예루살렘에 올라간 지는 12일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12  저 사람들은 제가 성전에서 누구와 논쟁하거나 회당이나 도시 어디에서든 군중을 선동하는 것을 보지 못했습니다. 13  그리고 저들은 지금 저를 고발하는 내용을 각하께 증명할 수도 없습니다. 14  그러나 각하 앞에서 이것은 분명히 시인합니다. 저 사람들이 분파라고 부르는 길을 따라, 제가 조상들의 하느님께+ 신성한 봉사를 드리고 있고 율법과 예언서에 기록된 모든 것을 믿는다는 것입니다.+ 15  그리고 저도 저 사람들이 품고 있는 것과 똑같은 희망을 하느님께 두고 있습니다. 그 희망은 의로운 사람들과 불의한 사람들의+ 부활이 있으리라는 것입니다.+ 16  그렇기 때문에 저는 하느님과 사람들 앞에서 깨끗한* 양심을 유지하려고 언제나 노력하고 있습니다.+ 17  저는 동족에게 자선기금을 전달하고+ 또 제물을 바치려고 여러 해 만에 돌아왔습니다. 18  제가 그 일을 하는 동안에 그들이 성전에서 저를 보았는데, 그때 저는 의식상 정결한 상태에 있었습니다.+ 저는 무리와 함께 있지도 않았고 소란을 일으키지도 않았습니다. 다만 아시아 속주에서 온 어떤 유대인들이 있었는데,+ 19  저에 대해 고발할 것이 있다면 그들이 각하께 와서 고발해야 할 것입니다.+ 20  아니면, 제가 산헤드린 앞에 섰을 때에 저 사람들이 제게서 무슨 잘못을 찾아냈는지 직접 말해 보라고 하십시오. 21  저는 그들 가운데 섰을 때에 ‘죽은 사람의 부활 때문에 나는 오늘 여러분 앞에서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라고+ 외쳤을 뿐입니다.” 22  펠릭스는 이 ‘길’에+ 관한 사실을 매우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을 물러가게 하며, “언제든지 부대장 리시아스가 내려오면, 당신들과 관련된 이 문제를 판결하겠소” 하고 말했다. 23  그리고 장교에게 바울을 지키되 어느 정도 자유를 주고 친지들이 그의 필요를 돌보는 것을 막지 말라고 명령했다. 24  며칠 뒤에 펠릭스는 유대인인 아내 드루실라와 함께 와서 바울을 불러 그리스도 예수에 대한 믿음에 관해 그가 하는 말을 들었다.+ 25  그러나 바울이 의와 자제와 오게 될 심판에+ 대해 이야기하자, 펠릭스는 두려워하며 “이제 그만 가시오. 기회가 되면 다시 부르겠소” 하고 말했다. 26  그러면서도 그는 바울에게서 돈을 받기를 바라고 있었다. 그래서 그를 더 자주 불러 이야기를 나누었다. 27  두 해가 지난 뒤, 포르키우스 페스투스가 펠릭스의 뒤를 이었다. 그때까지 펠릭스는 유대인들의 환심을 사려고+ 바울을 계속 가두어 두었다.

각주

또는 “거리낄 것이 없는”.

연구 노트

장로들: 이 구절에서는 유대 민족의 지도자들을 가리키는데, 그들은 흔히 수제사장들과 서기관들과 함께 언급된다.—마 16:21 연구 노트 참조.

대변인: 또는 “법률가; 변호사”. 그리스어 레토르는 원래 “공개 연사; 웅변가”를 의미하는 단어였지만 “법정에서 발언하는 사람; 변호사; 대변인”을 가리키는 데도 쓰이게 되었다. 데르둘로는 카이사레아에 있는 총독 펠릭스 앞에서 유대인들이 바울을 고발하는 내용을 설명했다.

말썽을 일으키는 자: 직역하면 “역병”.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이 구절 외에 “역병”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가 나오는 곳은 눅 21:11뿐인데, 그 구절에서 이 단어는 문자적인 역병 또는 널리 퍼진 질병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다. 이 구절(행 24:5)에서는 “말썽을 일으키는 자”나 대중에게 해가 되는 자로 여겨지는 사람을 가리키는 비유적인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사람이 거주하는 온 땅: 눅 2:1 연구 노트 참조.

나사렛파: “분파” 또는 “파”로 번역되는 그리스어 하이레시스(이 단어에서 “이단”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헤러시[heresy]가 유래함)는 원래 “선택”이라는 의미였던 것 같다. 「칠십인역」레 22:18에서도 이 단어가 그러한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이스라엘 사람들이 “자신들의 모든 선택에 따라” 바치는 제물 즉 자원 제물을 언급하는 부분에서 사용되었다.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이 단어는 특정한 사상이나 교리를 따르는 사람들의 집단을 가리킨다. 이 단어는 유대교의 대표적인 양대 파벌인 바리새파와 사두개파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행 5:17; 15:5; 26:5) 그리스도인이 아닌 사람들은 그리스도교를 “분파” 또는 “나사렛파”라고 불렀는데, 아마도 유대교에서 떨어져 나온 집단으로 여겼기 때문일 것이다. (행 24:5, 14; 28:22) 그리스어 하이레시스는 그리스도인 회중 내에서 생겨난 분파들을 가리키는 데도 사용되었다. 예수께서는 제자들이 연합을 이루어야 한다고 강조하셨으며 그렇게 되기를 기도하셨다. (요 17:21) 또한 사도들은 그리스도인 회중의 일치 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고전 1:10; 유 17-19) 회중 성원들 사이에 분파나 파벌이 생기면 연합이 깨지게 될 것이었다. 따라서 그리스어 하이레시스는 그러한 분열을 일으키는 집단을 가리키는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게 되었다. 신앙의 불일치가 생기면 격렬한 논쟁과 분쟁이 벌어지고 심지어 서로 적대시하게 될 수 있었다. (행 23:7-10 비교) 따라서 분파는 반드시 피해야 하는 “육체의 일” 가운데 포함되었다.—갈 5:19-21; 고전 11:19; 벧후 2:1. 또한 나사렛이라는 표현에 대해 알아보려면 막 10:47 연구 노트 참조.

후기에 만들어진 일부 그리스어 사본들과 그리스어를 다른 언어로 옮긴 몇몇 고대 번역본들에는 표현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6-8절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그리고 우리의 율법대로 재판하려고 했습니다. (7) 그러나 부대장 리시아스가 올라와서 그를 강제로 우리의 손에서 빼앗아 갔습니다. (8) 그러면서 그를 고발하는 사람들에게는 각하께 가라고 명령했습니다.” 그러나 이 내용은 가장 오래되고 신뢰할 만한 사본들에는 나오지 않으므로 사도행전의 원문의 일부가 아닌 것 같다.—부록 가3 참조.

신성한 봉사를 드리고 있고: 또는 “숭배를 드리고 있고”. 그리스어 동사 라트류오는 기본적으로 “섬기다” 또는 “봉사하다”를 의미하지만, 일부 문맥에서는 “숭배하다”로 번역할 수도 있다. 성경에서 그리스어 라트류오는 일반적으로 하느님을 섬기는 것이나 그분의 숭배와 관련이 있는 봉사를 하는 것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마 4:10; 눅 1:74; 2:37; 4:8; 롬 1:9; 빌 3:3; 딤후 1:3; 히 9:14; 12:28; 계 7:15; 22:3) 그러한 봉사에는 신성한 곳이나 성전에서 봉사를 드리는 것이 포함된다. (히 8:5; 9:9; 10:2; 13:10) 몇몇 경우에는 이 단어가 거짓 숭배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어, 피조물을 위해 봉사하거나 그것을 숭배한다는 의미를 전달하기도 한다.—행 7:42; 롬 1:25.

부활: 그리스어 아나스타시스는 문자적으로 “일으킴; 일어남”을 의미한다. 이 표현은 그리스도인 그리스어 성경에서 죽은 사람의 부활을 가리키는 말로 약 40회 사용되었다. (그러한 예를 보려면 마 22:31; 행 2:31; 4:2; 17:18, 32; 23:6; 고전 15:12, 13 참조) 「칠십인역」사 26:19에 나오는 “너의 죽은 자들은 살아날 것이며”라는 표현에서 “살아나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동사를 번역할 때 아나스타시스의 동사형을 사용했다.—용어 설명 참조.

자선기금: 또는 “자비의 선물”. 용어 설명 “자비의 선물” 참조.

장교: 또는 “백인대장”. 백인대장은 약 100명의 군인을 거느린 로마군 지휘관이었다.

드루실라: 행 12:1에 언급된 헤롯 즉 헤롯 아그리파 1세의 셋째 딸이자 막내딸. 기원 38년경에 태어났으며 아그리파 2세와 베르니케와 마리암네 3세의 여동생이다. (행 25:13 연구 노트 및 용어 설명 “헤롯” 참조) 총독 펠릭스는 드루실라의 두 번째 남편이었다. 드루실라는 시리아 왕인 에메사의 아지주스와 결혼했다가 이혼한 다음, 16세가량이던 기원 54년경에 펠릭스와 재혼했다. 바울이 펠릭스 앞에서 “의와 자제와 오게 될 심판에 대해” 이야기했을 때 드루실라도 그 자리에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행 24:25) 펠릭스는 총독직을 페스투스에게 넘겨줄 때 “유대인들의 환심을 사려고” 바울을 계속 가두어 두었는데, 일부 사람들은 그가 유대인인 젊은 아내 드루실라를 기쁘게 하기 위해 그렇게 했다고 생각한다.—행 24:27.

미디어

산헤드린
산헤드린

유대인의 최고 법원인 대(大)산헤드린은 71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산헤드린은 예루살렘에 있었다. (용어 설명 “산헤드린” 참조) 미슈나에 따르면, 산헤드린 법정에는 반원형으로 세 줄의 좌석이 배열되어 있었고 두 명의 서기가 참석하여 법원의 판결을 기록했다. 이 삽화에 묘사된 일부 특징은 1세기의 의회당으로 추정되는 예루살렘의 한 건물을 기초로 그려진 것이다.—부록 나12 “예루살렘과 주변 지역” 지도 참조.

1. 대제사장

2. 산헤드린 성원들

3. 피고

4. 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