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더 1:1-22
1 아하수에로*의 날에 있었던 일이다. 아하수에로는 인도에서 에티오피아*에 이르는 127개 속주*를 다스리고+ 있었다.
2 아하수에로 왕은 수산*+ 성*에 있는 왕좌에 앉아 있었는데,
3 통치 제3년에 모든 방백과 신하를 위해 연회를 베풀었다. 페르시아와+ 메디아의+ 군 지휘관들, 귀인들, 속주* 방백들이 그의 앞에 있었다.
4 그는 그들에게 자기의 영광스러운 왕국의 부와 자기 권세의 탁월함과 영화를 180일이나 되는 긴 날 동안 보여 주었다.
5 이 기간이 끝나자, 왕은 가장 큰 자부터 가장 작은 자까지 수산* 성*에 있는 모든 백성을 위해, 왕궁의 정원 뜰에서 7일 동안 연회를 베풀었다.
6 그곳에는 아마포와 고운 무명과 청색 천이 고운 직물과 자주색 양모로 짠 줄로 대리석 기둥의 은고리에 매여 있었으며, 금과 은으로 된 침상들이 반암과 대리석과 진주와 검은 대리석이 깔린 바닥에 놓여 있었다.
7 포도주를 금잔*에 마시게 했는데, 잔은 모두 다른 모양이었고 왕의 포도주도 그 재력만큼이나 넉넉했다.
8 아무에게도 억지로 권해서는* 안 된다는 규칙에 따라 술을 마셨으니, 왕이 궁정 관리들과 함께 정하여 저마다 원하는 대로 마시게 했던 것이다.
9 와스디 왕비도+ 아하수에로의 왕궁*에서 여자들을 위해 연회를 베풀었다.
10 7일째 되는 날에, 포도주로 마음이 흥겨워진 아하수에로 왕은 자기 시종인 일곱 궁정 관리 곧 므후만, 비스다, 하르보나,+ 빅다, 아박다, 제달, 가르가스에게 말하여,
11 와스디 왕비에게 왕비의 머리쓰개*를 씌워 왕 앞으로 데려오게 했다. 이는 백성들과 방백들에게 그의 아름다움을 보여 주려는 것이었으니, 그가 매우 아름다웠기 때문이다.
12 그러나 와스디 왕비는 궁정 관리들이 전한 왕의 분부를 계속 거역하며 오려고 하지 않았다. 그러자 왕은 몹시 화가 나 속에서 분노가 타올랐다.
13 그래서 왕은 선례*에 밝은 지혜자들에게 말했다. (이렇게 왕은 법과 소송에 정통한 모든 사람과 자신의 문제를 의논했으니,
14 왕의 측근은 페르시아와 메디아의 일곱 방백인+ 가르스나, 세달, 아드마다, 다시스, 메레스, 마르스나, 므무간이었다. 이들은 언제든 왕을 알현할 수 있으며 왕국에서 지위가 가장 높은 사람들이었다.)
15 왕이 물었다. “와스디 왕비가 궁정 관리들이 전한 나 아하수에로 왕의 분부에 따르지 않았으니, 법대로 하면 왕비를 어떻게 해야 되겠소?”
16 그러자 므무간이 왕과 방백들 앞에서 대답했다. “와스디 왕비는 왕께만이 아니라, 아하수에로 왕의 모든 속주*에 있는 방백과 백성들 모두에게도 잘못을 저질렀습니다.+
17 왕비가 한 일을 모든 아내들이 알게 되면 남편을 업신여기면서 ‘아하수에로 왕이 와스디 왕비를 왕 앞으로 데려오게 했는데도 왕비는 오지 않았다’고 말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18 왕비가 한 일을 알게 된 페르시아와 메디아의 방백들의 부인들은 바로 오늘이라도 왕의 모든 방백에게 그렇게 말할 것이니, 그러면 멸시와 분노가 넘쳐 날 것입니다.
19 왕께서 좋게 여기신다면, 와스디가 다시는 아하수에로 왕 앞에 나오지 못하도록 친히 어명을 내리시고, 그것을 페르시아와 메디아의 법에 기록하여 폐지될 수 없게 하십시오.+ 그리고 왕비의 자리는 그보다 더 나은 여인에게 주십시오.
20 이 어명이 왕의 광대한 왕국 전역에 알려지면, 아내들은 모두 남편이 가장 큰 자이든 가장 작은 자이든 남편을 존중히 여길 것입니다.”
21 이 제안이 왕과 방백들의 마음에 들었다. 그래서 왕이 므무간의 말대로 하여
22 왕의 속주* 전체에 편지를 보냈으니,+ 속주*마다 해당 문자*로, 민족마다 해당 언어로 보내어, 모든 남편이 자기 집에서 주인*이 되고 자기 민족의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선포했다.
각주
^ 다리우스 대왕(다리우스 히스타스피스)의 아들 크세르크세스 1세인 것 같음.
^ 또는 “구스”.
^ 또는 “관할 지역”.
^ 또는 “수사”.
^ 또는 “궁전; 요새”.
^ 또는 “관할 지역”.
^ 또는 “수사”.
^ 또는 “궁전; 요새”.
^ 또는 “금그릇”.
^ 또는 “제한해서는”.
^ 또는 “궁전”.
^ 또는 “터번”.
^ 또는 “절차”. 직역하면 “때”.
^ 또는 “관할 지역”.
^ 또는 “관할 지역”.
^ 또는 “관할 지역”.
^ 또는 “기록 방식”.
^ 또는 “군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