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변화가 일어난 땅
큰 변화가 일어난 땅
「깨어라!」 독일 집필자
“아내는 집을 떠나면서 가슴이 미어지는 듯한 슬픔을 느꼈습니다. 열한 살 된 우리 딸 미카엘라도 무척 속이 상했지요. 하지만 우리로서는 달리 도리가 없었습니다.” 디터의 말입니다. 이것은 전쟁 지역으로부터 도피하고 있는 어떤 난민 가족의 이야기입니까? 아닙니다. 이들은 독일의 광산 지역 중 한 곳에 사는 가족입니다.
지난 55년 동안, 독일의 라인란트에서는 약 3만 3000명의 사람들이 디터와 그의 가족이 겪은 것과 똑같은 경험을 했습니다. 그들은 노천 갈탄 광산이 들어설 수 있도록 다른 곳으로 이주하게 되었습니다. 산업계의 에너지 수요가 늘어나면서 독일에서만도 노천 광산에서 매년 약 1억 8000만 톤의 갈탄이 채광됩니다. 이것은 이집트에 있는 쿠푸 피라미드의 추정 중량의 약 25배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채광은 그 땅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브로크하우스 엔치클로페디」에서는, “대규모의 노천 채광은 흔히 광범위한 재이주와 급격한 변화를 수반한다”고 알려 줍니다. * 이제 라인란트의 노천 채광과 그로 인해 생활에 영향을 받아 온 사람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십시다.
노천 갈탄 채광
라인 강 하류의 쾰른에서 아헨 사이에 있는 분지는, 단일 매장지로서는 유럽에서 가장 규모가 큰 갈탄 매장 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크기가 룩셈부르크 대공국이나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요세미티 국립공원과 거의 비슷합니다. 갈탄은 지표면 밑에 묻혀 있는데, 자갈이나 모래 혹은 점토로 이루어진 층으로 뒤덮여 있습니다. 따라서 먼저 이 층을 제거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상층부를 표층토라고 부릅니다.
갈탄층에 도달하려면 버킷 바퀴형 굴착기를 사용하여 표층토를 제거해야 합니다. 이러한 굴착기 한 대가 매일, 1만 6000대의 세미트레일러를 가득 채우기에 충분할 만큼의 표층토를 제거합니다. 갱을 점점 더 깊이 파 들어감에 따라 옆면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굴착은 테라스 즉 계단 모양으로 해 들어갑니다. 광산의 굴착 면에 있는 개개의 작업용 수평 갱도를 벤치라고 합니다. 위의 사진에서 버킷 바퀴형 굴착기들이 이러한 벤치들에서 가동되고 있는 모습을 좀 보십시오. 그 굴착기들은 세계에서 가장 큰 기계들 가운데 속합니다. 높이가 95미터에 달하는 이 기계들은 뉴욕에 있는 자유의 여신상의 높이의 약 두 배나 됩니다.
일단 굴착기가 걷어 낸 표층토는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됩니다. 얼마나 많은 양의 표층토가 운반되어야 하는지 한번 상상해 보십시오. 독일의 라인란트에서는, 채광되는 갈탄 1세제곱미터당 4.6세제곱미터
이상의 표층토를 제거해야만 합니다. 제거된 표층토는 컨베이어를 타고 빠른 속도로 운반되는데, 어찌나 빠른지 자전거를 타고도 따라잡기가 어려울 정도입니다. 컨베이어들은 집결 지역에서 서로 만나게 됩니다. 이곳에서는 채취된 여러 가지 물질들을 석탄 저장고로 운반하거나 열차에 싣거나 발전소로 보내거나 더미로 쌓아 놓습니다. 갈탄은 대부분 발전소로 보내져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사용됩니다.표층토는 가능한 한 갈탄을 캐낸 지역을 다시 메우는 데 사용합니다. 메우는 일을 하는 기계들은 스프레더라고 합니다. 이 기계들은 갱이 다 메워질 때까지 갱 안으로 층층이 표층토를 쏟아 붓습니다. 그러고도 남은 표토는 모두 바깥에 더미로 쌓아 놓습니다. 이렇게 쌓아 놓은 더미들은 높이가 최대 200미터에 이르는 언덕들을 이룹니다. 이 표층토 언덕들이 전원 지역과 잘 어울리게 하여 농업이나 임업에 활용될 수 있게 하는 일이 조경 전문가들에게는 큰 난제가 되고 있습니다.
지하수면을 낮추는 작업
노천 광산은 필연적으로 주변 경관과 자연 순환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노천 광산을 건조하게 유지하기 위해, 지하수면은 갱의 가장 낮은 지점보다 더 낮아지게 합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 독일에서 매년 퍼내는 물의 양은, 독일에서 가장 큰 도시인 베를린의 시민들이 거의 3년 반 동안 사용할 수 있을 정도나 됩니다. 환경보호론자들은 이렇게 엄청난 양의 물을 뽑아내는 것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는데, 이들은 특히 인근에 있는, 독일과 네덜란드 사이의 국경에 위치한 마스-슈발름-네테 자연공원에 미칠 위협에 대해 염려하고 있습니다. 이 공원은 자연적인 습지대로서 많은 식물과 새들의 서식지입니다.
노천 광산의 책임자들은 염려할 이유가 없다고 장담해 왔습니다. 채광할 때 뽑아낸 물을 보충해 주기 위해, 광산에서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곳에서는 땅속으로 물을 되돌려 보내고 있습니다. 이 일은 부분적으로는 삼투압 샘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방법이 이 지역이 건조해지지 않게 막아 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새로운 자연경관이 형성되다
땅은 계속해서 변합니다. 매년 약 250억 톤의 퇴적물이 바다로 쓸려 가는데, 우리는 이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지도 못합니다. 하지만 노천 광산의 가장자리에 서 있어 보면 자연경관에 일어나는 변화들을 좀 더 뚜렷하게 알 수 있습니다. 전혀 새로운 자연경관이 눈앞에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라인란트의 갈탄 매장 지역의 경우에는 어떤 일이 있었습니까?
이전에는 광산이었던 쾰른에서 아헨 사이의 분지 지역이 지금은 복구되어 농경지와 숲과 공원으로 바뀌었습니다. 게다가 물줄기들을 돌려놓았고 도로와 철도 역시 돌려놓았습니다. 「라인란트의 갈탄 채광」(Lignite Mining in the Rhineland)이라는 책에서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복구 작업이란] 자연을 원상 회복시켜 주는 시도가 아니다.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고작해야 초기 단계의 지원뿐이다. 이 작업의 주요한 부분은 자연 스스로가 해낸다.” 지금까지, 광산 지역이었던 땅의 65퍼센트 이상이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땅으로 바뀌었는데, 농경지로 사용되는 지역이 가장 많습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투과성이 높은 그 지역의 흙 위에 가능한 한 균일하게 2미터 깊이로 기름진 표토를 깔았습니다. 몇 년 동안은 기업 소유의 농장에서 그 지역을 경작했고, 그다음부터는 일반 농업 용지로 그 땅을 분양하였습니다.
새로운 숲과 인공 호수로 이루어진 한 작은 지역은
법에 의해 보호를 받는 보호 구역이 되었습니다. 멸종 위기에 처한 일부 종들은 이 복구된 지역을 자신들의 보금자리로 삼기까지 하였습니다. 그러한 종들 가운데 두 가지만 예를 든다면, 우아한 나비인 왕줄나비와 개개비 종(種)의 새가 있습니다. 게다가 이 지역에는 흔히 볼 수 있는 통발이나 난초 같은 식물들도 있습니다. 쾰른과 본에 사는 사람들은, 이전의 노천 광산이 이제는 가서 긴장을 풀고 편안하게 쉴 수 있는 휴식처가 되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재이주와 새로운 출발
노천 채광과 관련된 가장 큰 난제 가운데 하나는, 갈탄이 매장된 지역 바로 위에 사는 사람들의 재이주 문제입니다. 채광을 시작할 수 있으려면 먼저 마을 전체가 이주해야만 합니다.
재이주를 위해서는 대대적인 계획이 필요한데, 이 계획은 채광에 착수하기 10년에서 15년 정도 앞서 시작됩니다. 새로운 지역으로 옮길 때에는 마을 공동체가 그대로 유지되게 하려고 노력합니다. 경험에 비춰 보면, 재이주해야 하는 사람들 가운데 절반가량은 이웃과 함께 그대로 같은 공동체 내에 머물러 있기를 원하는 반면, 나머지 사람들은 이사하는 것을 다른 곳에서 새롭게 출발할 수 있는 기회로 생각합니다. 이주해야 하는 사람들은 보상을 받지만, 값을 매기는 것이 불가능한 것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거실 창문을 통해 볼 수 있었던 멋진 경치나 이웃과 함께 나누던 친밀한 관계를 잃어버린 것에 대해 어떻게 보상받을 수 있겠습니까? 새로운 환경에서는 모든 것이 다를 수 있습니다.
재이주는 단순히 집을 옮기는 것 이상을 의미합니다. 채광은 환경을 영구적으로 바꾸어 놓습니다. 부모는 자녀들이 성장하고 학교에 다녔던 곳을 그들에게 보여 줄 기회를 영영 잃게 됩니다. 어린 시절을 보냈던 집이 영원히 사라져 버리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이러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합니까? 본지는 그러한 사람들 중 몇몇과 회견해 보았습니다.
프리드헬름은 재이주가 결정된 마을에 살고 있습니다. 그의 나이에 두 번째로 새로운 집을 짓는다는 것은 그다지 유쾌한 전망은 아닙니다. 프리드헬름의 아내인 잉게는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는 처음 집을 지으면서 여러 가지 귀중한 교훈들을 배웠지요. 하지만 이제는 그런 일을 다시 할 수 있는 힘이 없어요.” 새로운 집을 건축하려면 몇 년 동안 건축 현장에서 살아야 할 수도 있으므로,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베르너와 마르가레테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주하면서 물질적으로 이득을 본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노인이나 농부나 상인과 같은 특정 집단은 특히 심각한 타격을 받습니다. 자영업을 하는 일부 사람들의 경우, 새로운 지역에서 다시 사업을 시작하는 데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듭니다. 하지만 재이주하여 복구된 지역에서 20년이 넘도록 새로운 농장을 운영하고 있는 한 농부는, 자기의 경우는 일이 꽤 잘 풀린 것 같다고 말합니다. 그는 “어쨌든 상황은 바꿀 수 없는 것이므로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자”는 태도를 가졌던 것입니다.
참으로 맞는 말입니다! 서두에 언급한 디터와 그의 가족 역시 시간이 흐르자 새로운 집에 익숙해지게 되었습니다. 그들 말고도 다른 많은 사람들이, 노천 채광은 땅과 그곳에 사는 사람들에게 크나큰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경험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각주]
^ 5항 노천 채광과 그것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의문은 일부 지역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깨어라!」는 그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중립적 입장을 취한다.
[21면 삽화]
버킷 바퀴형 굴착기가 갈탄을 캐고 있다
[자료 제공]
Rheinbraun AG
[23면 삽화]
스프레더가 갱을 기름진 흙으로 메우고 있다
이전에 노천 광산이었던 곳이 변화된 모습
[자료 제공]
모든 사진: Rheinbraun AG